본문 바로가기

테니스

서브 속도와 회전량의 관계: 킥 서브 vs 플랫 서브의 과학

 

테니스 서브 토스를 하고있는 남성

물리학, 운동역학, 그리고 회전의 비밀을 파헤치다


서브는 테니스에서 유일하게 선수가 주도권을 완전히 쥐는 기술이다. 그중 회전량과 속도의 관계는 경기 스타일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다. 특히 킥 서브와 플랫 서브는 그 정점에 있는 기술들이다.


1️⃣ 서브의 기본 물리학: 속도 vs 회전량의 반비례 관계

핵심 개념: 임팩트 에너지 분산 / 마찰계수 / Magnus 효과

  • 서브 속도는 라켓 스윙 스피드에 좌우되지만, 공의 회전량이 많아질수록 속도는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 이는 운동 에너지가 전진 속도(선형 운동)와 회전 운동(각 운동)에 분산되기 때문.
  • 또, 공에 회전이 걸리면 Magnus 효과에 따라 공기 저항이 커지고 낙하 가속도가 증가 → 네트를 넘긴 후 바운스가 독특해짐

📌 운동 에너지 공식 분해:
총 운동 에너지 = ½mv²(선형) + ½Iω²(회전)
→ 플랫 서브는 대부분 에너지를 선형 운동에, 킥 서브는 회전 운동에 더 많이 할당


2️⃣ 킥 서브: 상방 회전과 각도 조작의 극치

특징: 고회전량, 높은 바운스, 방향 제어

  • 토스 위치: 킥 서브는 왼쪽 어깨 뒤쪽(오른손잡이 기준)으로 토스를 던짐 → 라켓이 상방으로 공을 긁으며 접촉 가능
  • 팔의 움직임: 팔꿈치가 뒤에서 앞으로 돌면서 내회전 + 외회전이 섞인 강한 상향 스윙 유도
  • 스핀 종류: 주로 Topspin + 약간의 Sidespin → 공이 네트 위로 높게 지나가며 바운스 후 상대 머리 위로 튐

📌 회전량: 킥 서브는 2500~4000 rpm (Topspin 서브 기준)
📌 속도: 평균 시속 130~150km (남자 ATP 기준)

🎾 예: 카를로비치보다 나달이 킥 서브 회전량은 훨씬 높다.


3️⃣ 플랫 서브: 파워와 직선 속도의 상징

특징: 낮은 회전, 높은 속도, 직진성 강함

  • 토스 위치: 플랫 서브는 정면 또는 오른쪽(오른손잡이 기준) 위쪽으로 높게 던짐
  • 팔의 움직임: 강한 팔의 내회전 + 전완근 고속 회전으로 공의 중심을 정통으로 타격
  • 스핀 종류: 거의 없음 → Topspin이 적어 공 궤적은 직선, 낙차 적고 네트 클리어런스 낮음

📌 회전량: 700~1200 rpm
📌 속도: 최고 시속 230~250km (ATP 서브 기록 상위권)

🎾 예: 존 이스너, 닉 키리오스의 서브는 전형적인 플랫 서브 기반


4️⃣ 회전량과 각도의 조합: 왜 킥 서브는 타이밍 잡기 어려운가

핵심 개념: 바운스 후 궤적 변화 / 타점 시간 지연 / 리시브 포지션 유도

킥 서브는 공이 바닥에 튄 후 갑작스럽게 ‘위로’ 튀는 성질이 있어 리시버에게 다음과 같은 부담을 준다:

  • 타점이 높아짐 → 리시버가 팔을 완전히 펴거나 후퇴해야 함
  • 타이밍이 지연됨 → 백핸드 리턴 준비 시간이 부족
  • 공 궤적이 예측 불가 → Sidespin 섞이면 리시버 몸 쪽으로 휘어 들어감

반대로 플랫 서브는

  • 빠르지만 직선성이 강해 예측이 상대적으로 쉬움
  • 네트 상단을 아슬아슬하게 넘겨야 하므로 실패 확률도 높음

5️⃣ 토스 높이와 팔 회전 메커니즘: 회전을 결정짓는 키포인트

토스와 팔의 움직임이 회전량과 궤적을 완전히 바꾼다:

  • 킥 서브:
    • 토스는 약간 뒤쪽으로
    • 스윙은 수직 + 외회전
    • 라켓이 공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까지 긁어주는 느낌
  • 플랫 서브:
    • 토스는 높고 정면, 공과 눈의 직선상
    • 팔은 빠르게 내회전, 팔꿈치가 먼저 회전축을 형성
    • 라켓 면이 수평에 가깝게 공 중심을 직격

✅ 회전의 원천은 스윙 스피드가 아닌 접촉 각도와 라켓면의 사용 방법에 있다.
✅ 라켓이 공에 닿는 접촉 시간은 약 5밀리 초에 불과하지만, 그 짧은 순간에 회전량이 결정된다.


🔚 결론: 전략적 선택, 회전과 속도의 균형

  • 킥 서브는 회전량이 많아 상대에게 불편함을 주고, 2nd 서브로 자주 사용
  • 플랫 서브는 높은 속도로 에이스를 노리는 1st 서브에 최적화
  • 현대 테니스에서는 두 서브의 복합 운용이 필수이며, 서브 루틴의 다양성이 곧 경기력이다.